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노트북 HDMI 연결 시 소리 안 나올 때 해결법 4단계

by pc-knowledge 2025. 11. 14.
반응형

HDMI로 화면은 잘 나오는데 소리가 나오지 않으면 꽤 답답하죠. 원인은 대체로 간단한 설정 누락, 장치 우선순위, 케이블/어댑터 규격, 드라이버 문제에서 시작됩니다. 아래에서 가장 자주 놓치는 기본 점검부터 단계별 해결법을 차근차근 정리했어요. 각 단계는 시간이 많이 들지 않도록 실제 해결 확률이 높은 순서로 구성했으며, Windows와 macOS 모두의 화면/오디오 메뉴 위치를 함께 안내합니다. 따라만 해도 대부분의 상황에서 노트북 소리를 TV·모니터 스피커로 정상 출력할 수 있을 거예요. 끝까지 읽고 적용해 보시고, 잘 안 되는 경우에는 댓글로 환경 정보를 남겨 주세요. 함께 원인을 더 또렷하게 찾아보겠습니다.

원인 한눈에 보기와 준비물

HDMI 연결에서 소리가 나오지 않는 가장 흔한 이유는 출력 장치 선택이 자동으로 바뀌지 않거나, TV/모니터의 오디오 입력 경로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입니다. 그다음으로 케이블·변환 어댑터의 규격 불일치, 드라이버 충돌 또는 구버전, 스피커 자체 음소거, 앱 개별 음량 제한, HDCP/샘플링 레이트 불일치 등이 원인이 됩니다. 아래 표를 통해 자신의 환경을 빠르게 분류해 보세요. 체크 포인트를 순서대로 점검하면 대부분 10분 안에 해결됩니다. 만약 도중에 화면이 깜빡이거나 소리가 간헐적으로 끊긴다면, 해상도와 주사율을 낮춰 임시로 안정화한 뒤 본문 단계를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상황 가능 원인 당장 할 일
화면은 정상 / 소리만 없음 출력 장치 자동 전환 실패, TV/모니터 오디오 경로 불일치 STEP 3의 출력 장치 강제 선택 → STEP 4의 입력 경로 확인
소리가 간헐적으로 끊김 주사율/해상도 과도, 케이블 품질, 드라이버 문제 주사율 낮춤, 다른 케이블 시도, STEP 5 진행
변환 어댑터 사용 패시브 DP→HDMI, USB-C 허브 미지원, ARC/eARC 혼선 STEP 6의 규격 호환성 체크

준비물: 다른 HDMI 케이블 1개, 가능하면 액티브 변환 어댑터(USB-C→HDMI 또는 DP→HDMI), 최신 그래픽/오디오 드라이버 설치 파일, TV/모니터 리모컨, 이어폰 또는 외부 스피커(비교용).

단계1: 출력 장치 설정 점검(Windows/macOS)

Windows

1) 작업표시줄 스피커 아이콘을 클릭하고, 오디오 출력 리스트에서 TV/모니터 이름(예: “LG TV, NVIDIA High Definition Audio”)을 직접 선택합니다. 2) 선택 후에도 무음이면 사운드 설정 → 모든 사운드 장치 관리에서 해당 HDMI 장치를 기본값으로 지정합니다. 3) 볼륨 믹서를 열어 재생 중인 앱(브라우저·스트리밍 앱·게임)의 개별 볼륨이 낮거나 음소거되어 있지 않은지 확인합니다. 4) 장치 속성 → 추가 장치 속성에서 샘플링 레이트(예: 48 kHz)로 바꿔 테스트하고, 공간 음향(Windows Sonic/Dolby) 옵션을 꺼서 호환성을 먼저 확인합니다. 5) 노트북 자체 스피커가 기본으로 되돌아오는 경우, HDMI 케이블을 다시 연결한 직후 리스트를 새로 고침하고 재선택하세요.

macOS

1) 상단 메뉴 막대의 소리 아이콘을 눌러 출력에서 TV/모니터 또는 AV 리시버를 선택합니다. 2) 시스템 설정 → 사운드 → 출력에서 동일 장치를 기본값으로 지정하고, “메뉴 막대에서 사운드 보기”가 활성화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3) 디스플레이 설정에서 디스플레이 오디오가 보이면 해당 항목의 음량과 음소거 상태를 확인합니다. 4) 특정 앱이 무음이면 앱의 환경설정(예: 브라우저 자동 재생·음량 제한)을 점검합니다. 5) 여전히 무음이라면 케이블을 뺐다가 다시 연결하고, 모니터를 먼저 켠 뒤 Mac을 재부팅하여 핸드셰이크를 초기화합니다.

핵심 포인트:
소리가 안 나올 때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HDMI 장치를 명시적으로 기본 출력으로 바꾸는 것입니다. 자동 전환을 믿지 말고, 리스트에서 디바이스명을 직접 선택해 주세요.

단계2: TV/모니터 오디오 메뉴와 음성 경로

PC에서 HDMI로 소리를 보냈더라도, TV·모니터가 올바른 오디오 입력을 듣지 않으면 무음이 됩니다. 리모컨의 설정 메뉴에서 스피커가 “외부 사운드바/eARC”로 고정되어 있지 않은지, “TV 스피커”가 꺼져 있지 않은지 확인하세요. 특히 사운드바·리시버를 함께 쓰는 환경은 ARC/eARC 경로가 바뀌면서, 노트북의 단순 HDMI 입력이 우선순위에서 밀릴 수 있습니다. 또한 “PC 모드/게임 모드”가 활성화될 때 일부 TV는 오디오 처리 옵션이 달라지므로, 출력 지연 감소 대신 오디오 출력이 비활성화되는지 점검이 필요합니다.

디스플레이 옵션 점검 포인트 조치
입력 소스(HDMI1/HDMI2) 영상은 나오지만 오디오는 다른 소스에 묶여 있음 현재 연결된 HDMI 포트를 정확히 선택, 자동 전환 해제
스피커 선택(TV/외부/eARC) 사운드바·리시버 우선으로 고정 임시로 TV 스피커로 전환 후 테스트
오디오 출력 단자(헤드폰/라인아웃) 모니터가 자동으로 외부 단자 활성화 모니터 후면 3.5mm에 스피커/이어폰 연결해 소리 유무 확인

주의: 일부 모니터는 HDMI 오디오 미지원이거나, 특정 해상도·주사율 조합에서만 오디오를 전달합니다. 모델별 매뉴얼에서 “HDMI Audio” 지원 여부를 반드시 확인하세요.

단계3: 드라이버·OS 업데이트와 재설치 포인트

최신 그래픽 드라이버에는 HDMI 오디오 장치가 함께 포함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장치 관리자에서 “High Definition Audio Controller”, “NVIDIA/AMD/Intel Audio” 항목에 경고 표시는 없는지 확인하고,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최신 드라이버로 업데이트하세요. Windows는 누적 업데이트 이후 오디오 장치가 새로 인식되기도 하므로, 업데이트→재부팅→케이블 재연결 순서를 추천합니다. macOS는 시스템 업데이트를 통해 HDMI/USB-C 오디오 호환성이 향상되는 경우가 있으니, 최신 버전 유지가 좋습니다.

  1. 클린 재설치

    제조사 도구(예: GeForce Experience, Intel Driver & Support Assistant)로 설치가 불안정하면 드라이버 제거 후 클린 설치를 수행합니다.

  2. 전원 관리 해제

    절전 모드 복귀 직후 무음이면, 전원 관리에서 USB/그래픽 절전을 완화하고 재연결하세요.

  3. 오디오 포맷

    5.1/7.1 등 멀티채널로 강제 설정 시 TV가 2채널만 지원하면 무음이 될 수 있습니다. 2채널 PCM으로 먼저 테스트합니다.

TIP: 드라이버 교체 전에는 시스템 복원 지점을 만들어 두면 좋습니다. 문제가 생겨도 빠르게 롤백할 수 있습니다.

단계4: 케이블·어댑터·규격 호환성 체크

케이블과 어댑터는 오디오 전송의 성패를 좌우합니다. 구형 HDMI 케이블은 고해상도/고주사율에서 대역폭이 부족해 음성이 끊길 수 있고, DP→HDMI 또는 USB-C→HDMI 변환 시 패시브 어댑터는 그래픽 카드의 DP++ 기능이 있어야 오디오가 전달됩니다. 확실한 방법은 칩셋이 내장된 액티브 변환 어댑터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또한 일부 허브/독은 특정 포트만 오디오를 지원하니, 매뉴얼의 포트 설명을 확인하세요.

항목 권장/확인 사항
HDMI 케이블 High Speed 이상 사용, 길이 2m 내 테스트, 다른 케이블로 교차 확인
USB-C 허브/독 Alt Mode/DP 1.4 지원 표기 확인, 펌웨어 업데이트 여부 점검
DP→HDMI 변환 액티브 어댑터 권장, DP++ 미지원 시스템은 필수
오디오 포맷 PCM 2ch로 먼저 설정, 이후 Dolby/DTS 단계적 적용

체크리스트:
① 다른 HDMI 케이블로 테스트 → ② 허브/독에서 포트 변경 → ③ 액티브 변환 어댑터 사용 → ④ TV 입력 포트 교체 → ⑤ 해상도/주사율 낮춰 재시도.

FAQ 6가지

Windows에서 장치는 보이는데 테스트 소리가 안 들립니다.

장치 속성의 샘플링 레이트를 44.1kHz 또는 48kHz로 변경해 보세요. 공간 음향을 끄고, 볼륨 믹서에서 앱별 음량을 확인합니다. 그래도 무음이면 다른 HDMI 포트/케이블을 시도합니다.

macOS에서 소리 막대에 장치가 안 보여요.

시스템 설정 → 사운드에서 “메뉴 막대에서 소리 보기”를 켜고, 출력 탭에서 디스플레이 오디오를 선택하세요. 재부팅 후 케이블 재연결도 도움이 됩니다.

모니터에는 소리가 없는데 헤드폰 단자에는 들립니다.

일부 모니터는 내부 스피커가 없고 3.5mm 라인아웃만 제공합니다. 이 경우 외부 스피커를 연결하거나 TV 스피커가 있는 디스플레이를 사용해야 합니다.

사운드바·리시버와 함께 쓰면 왜 무음이 되나요?

ARC/eARC 경로로 고정되어 PC 입력이 우선순위에서 제외된 탓일 수 있습니다. TV 스피커로 임시 전환 후 소리 확인, 이후 리시버 입력을 수동 지정하세요.

화면 주사율을 높이면 소리가 끊깁니다.

대역폭 한계나 케이블 품질 이슈일 가능성이 큽니다. 해상도/주사율을 한 단계 낮추고, High Speed 이상 케이블을 사용해 보세요.

USB-C 허브로 연결했는데 한쪽만 소리가 나요.

허브의 HDMI 포트 중 일부만 오디오를 지원하거나, 펌웨어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다른 포트로 바꾸거나 허브 펌웨어/드라이버를 업데이트하세요.

마무리

HDMI 무음 문제는 대부분 설정 우선순위와 간단한 호환성 점검으로 해결됩니다. 오늘은 출력 장치 강제 지정 → TV/모니터 오디오 경로 확인 → 드라이버·OS 업데이트 → 케이블·어댑터 규격 점검의 4단계를 안내했습니다. 적용 후에도 해결이 안 되면, 노트북 모델명·OS 버전·연결 경로(허브/어댑터)·디스플레이 모델명·케이블 길이와 규격을 남겨 주세요. 환경을 알면 훨씬 빠르게 원인을 특정할 수 있습니다. 작은 변화 하나가 소리를 되찾아 줄 수 있으니, 순서대로 차근차근 시도해 보세요.

관련된 사이트 링크

태그 정리

HDMI 소리 안 나옴, 노트북 HDMI 연결, TV 소리 출력, 모니터 스피커, 윈도우 오디오 설정, macOS 사운드 설정, 드라이버 업데이트, USB-C 허브, DP HDMI 변환, 케이블 호환성

반응형